⊙생생공부방-창의인성

조경복의 창의인성-우토푸스의 꿈

조 파워(경복) 2015. 3. 13. 16:07

연초부터 시립 산본도서관의 움직임이 활발하다.

예년같으면 3~4월에 시작되는 첫강의가 1월부터 열렸다.

그중 하나가 <서양철학> 우토푸스의 꿈이다.

Utopus 는 Utopia 와 같은 말이란다.

이병태 박사가 전과정 8강를 진행했다.

하나의 주제로 서양 사상사중 '유토피아' 건설에대한 구상을 알수있어좋았다.

 

16세기 과학시대가 열리면서 서양사회는 많은 변화를 가져옴--20세기 들어서 H.Butterfield 가 '과학혁명'이라 명명함.

과학적 접근으로  전제가 바뀜-유클리드 수학(공리) : 비유틀리드 수학(비공리)

중국 발명 망원경이 유럽으로 전해지면서 천체관측---대항해시대를 열리게 함

피의 순환원리를 불과 100전까지는 모르고 있었음

 

가장 이상적인 국가, 사회 건설에 대한 구상과 설계도, 시행방안을 사상가들이 저마다 생각해냄--이상향

플라톤--폴리테이아 Politeia-국가론--가장 지혜로운 자인 철학자가 다스리는 국가 건설--哲人治者

토마스 모어--유토피아 --100년 후 프랑스 혁명 유발

토마스 캄파넬라--태양의 나라 --부인공유제 --가족해체 --가족제도가 사적 소유 집착하게 함--상속제도가 사라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부의 불평등화 해소--상속으로 인하여 부와 현대판 신분제도 대물림 됨

아리스토텔레스/동양의 주희 수준--오르가논--논리학--삼단논법--모든 철학자가 넘어야할 산

책 : 새로운 아틀란티스

토마스 홉스(1588-1679) :  리바이던Leviathan / 성서에 나오는 바다괴물/악어/리워야단--(역서명, 문학에서 배우는 삶의 통찰력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절대군주국가---거대한 절대주권 국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연상태 State of Nature 의 모든 사람은 모든 사람에 대한 전쟁상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연상태= 무제한의 자유상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홉스 영어로 쓴 철학책 처음시도 --당시 모든 저술활동에 라틴어 사용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마르틴 루터(1483-1546) 라틴어 성서 독일어 번역---조선 허균(1569-1618) 한글 소설 작품만큼이나 변혁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비히모스 Behemoth 저서 있음---육지의 큰 괴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3부작--법의 원리 The Elements of Law --시민론---리바이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연상태---절대주권국가--사회계약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인간은 끊임없는 권력 추구욕을 가짐--자연권력  Nature Power  외모, 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도구적 권력 Instrumental Power  부 명성 친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인간의 가치/가격--타인/사는 사람의 필요와 판단--전시 / 군인---평시/ 재판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사는 사람의 가격을 매긴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인간--미래에 대비하여 현재를 비축하는 동물

          홉스 이론 --존로크(1632-1704) 가 승계

망원경--갈릴레이(1564-1642)가 활용--30년(1618-1648) 전쟁에 활용

근대의 문을 연 사상가--니콜로 마키아벨리(1469-1527)--16세기 이탈리아 내전--군주론 The Prince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토마스 홉스 (1588-1679)---17세기 영국 청교도 혁명 영향받음

영국 --프랑스 100년 전쟁 (1337-1453) 영국내 장미전쟁(1455-1485) 봉건제도 쇠퇴--

국왕 헨리8세(1491-1547)교황청 불인정--영국 국교 성공회 탄생---권리장전1628--청교도혁명1642--찰스1세 처형1649  의회파 승리

수평관계--자연법 사상 Law of Nature  --프 데카르트 (1637년)  방법서설 Discours de la methode

홉스  프랜시스 베이컨(1561-1626, 영국 경험론의 기초를 세움) 영향을 받아 경험적 사실과 인과관계 중시

프 파스칼(1623-1662) --철학자  수학자  자연과학자 --Science--라틴어 Scire / 안다 어원 --인간도 분해--사회적 원자 Atom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인간본성/신체  /정신의 힘

권리장전 1689---미국 독립선언1776---프랑스 혁명1789  ---인간 자신의 힘을 자유롭게 사용할 자유--시민사회--자연상태와 대비되는 사회

영국 마그나 카르타 1215년 선포 ---귀족권리 재확인

홉스--자연권 포기 방식--계약/信約---고용주/돈 일부 포기---근로자/ 노동력 마음대로 사용권리 포기

아리스토텔레스 국가론--최초공동체 형태/자연적형성--가족--마을--국가/ 완전자급자족

지동설 1612 갈릴레이 --종교재판--유폐--석방--그래도 지구는 돈다--폴란드 천문학자--코페르니쿠스--지동설 입증

 

현실세계에서 이상향 찾아 나서 사람--Amerigo(1451-1512)  남미3번 탐험--그의 이름에서 아메리카 America 붙여짐

理想鄕 --Utopia -토마스 모어 Thomas More 1478-1535 단두대 처형

 

프랜시스 베이컨--사유의 토대에서 신념이 생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-문제/현실의 어려움--원인을 묻고---핵심 원인을 찾고--해결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해결법 고안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-그 이전 세대---기도하고, 종교에 의지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서양 지성사를 전환시킨 사람

책  새로운 아틀란티스--베이컨이 쓴 유토피아---이상적 사회--도덕성 최고--가부장 제도--팁 없는 사회

16~17세기 상황--기독교 전파 --기독교인 : 비기독교인 --문명과 야만의 경계--표면적으로는 전도--실질적으로는 약소국 약탈

이상사회를 쓴 베이컨도 법무장관시정 뇌물수수로 파면 당함---아리스토텔레스  Organon 논리학 논박/비판-신논리학 Novum Organon 저술

인격호소의 오류--공부고 못하는 것이 밥은 많이 먹어?--청문회/ 고교 때 미양가 공부 못한 사람이장관할수 있겠어요?--논리적 오류

 

베이컨의 새로운 아틀란티스는 앞 선 두개의 이상사회(토마스 모어, 캄파넬라)보다 문제해결의 구체성이 돋보임

          질병문제---식량/기아문제---대량생산문제----과학기술 및 기계화 방법 ---전체적으로 사회 안정을 최우선

--------

베이컨 이후 등장하는 철학자 정치사상가는 전체 주의에서 개인행복을 우선에 두는 개인주의로 큰 사상 흐름이 바뀜-홉스/로크/루소/흄 등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전체주의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ㅣ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개인주의/이기주의와는 다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사회전체 안전 우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ㅣ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연권에 바탕둔 개인의 이성적 권리 우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주체/神 국가 왕 객체대상/개인        ㅣ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개인의 권리 원래부터 있는것, 인간고유의것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개인이 똑똑한것은 신이 좀 나누어준것   ㅣ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칸트.데카르트...철학자들이 논리개발 몰두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神이 도덕적 계율 설정/ 밖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ㅣ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개인이 도덕, 진리의 주체/ 안

자연권 Natural right ---번역/ 일본을 통해서 유입 天賦人權---신,왕이 부여한것으로 오해 소지--누가 준것이 아님

 

개인이 자율적으로 도덕, 진리 추구 가능---이론 개발 철학자들

칸트 ---실천이성비판/인간 내부의 도덕적 판단 주인--행위의 주인공/개인/인간--스스로 자율적 판단

       ---순수이성비판/진리. 신을 통하지 않고도 인간이 직접 탐구 능력 있음--인간이 선험적 능력으로 진리 추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인간이 있으니 진리가 있다.---칸트 : 인간은 자연의 입법자다

칸트--합리론--인간 태어날때 진리 발견 능력가지고 태어남--머리속에 생각의 틀이 들어있어 가능

흄 --경험론

붕어빵 틀 (금형)--빈공간--틀 강조 / 합리론----재료배합하여 밀가루 반죽부어야 붕어빵이 됨/경험론

인간에 대한 논의가 깊어짐---흄--자연과학의 법칙도 진리는 아니다--회의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버클리--주관적 지각론자--인간의 지각,경험은 확인되어야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홉스--인간은 서로에대해 늑대/이리다.  똑똑한 늑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루소--인간은 내부에 어진본성(仁)을 가지고 있다./맹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아담스미스--현재와 같은 자본주의 생각 아니함-인간 중심 공존사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보이지 않는 손으로 자연(시장) 조정--베른리히"아버지의 숲" -부자간 생태학자 연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디웅벌은 꽃의 생장상태에 따라 개체가 조절됨--상호협력

유토피아 좀 더 정교한 설계자--루소--홉스--칸트--아담스미스 ---개인주의/인간의 재해석--인간의 권리 보호

과학혁명이 인간을 똑똑한 존재로 만듬

계몽주의 사상가 --The Enlightment ---빛을 밝히는 작업--중세의 묵은 떼를 벗는 것

18세기 말 급진 사상가 탄생

토마스 모어---양이 사람을 잡아먹는다.-밀농사 보다 양(양모)키우는 것이 이익---농토--초지 밀---양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토지 떠난 농민--산업노동자로 싼임금--대량인력 공급--공급초과 --생명의 한계선만큼 노동시킴-16시간 노동

18세기 후반 급진 사상의 정원---Utopia--->Distopia

           아나키즘  Anarchism--an 否    --arche 아르케  --archos  우두머리 / 뿌리--배의 중심축

           사회주의

           페미니즘---남성위주의 유토피아 보완

1789년 프랑스혁명 후 대체권력으로 나폴레옹 등장

아나키스트--대동사상/ 상호부조론--만물은 서로 돕는다. 크게는 유교정신과 통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-러시아 크로프트킨 이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에 영향을 미침--이회영/신채호/나철

사회주의---원조 Godwin ---오웬 R. Owen--생 시몽Sant Simon--샤를 뿌리에Charles Fourier

오웬--공장 사장--자본가--10시간 노동--혁신--협업시스템 성공--영국에서 미국 공장이전 --800명 이주-이상사회 실패

          협업시스템--원시 노동조합 태생--협동조합--노조

생시몽--사회주의--자율 공동체--도덕성  강조/종교.과학 기술 중시--우리나라 신앙촌 방식--산술분배방식-분배주체 따로 정함

         마르크스 --분배방식--일하고 싶은 만큼 일하고, 필요한 만큼 분배 받아감( 예 무인 e-마트)

뿌리에 공동체--팔랑스테르 Phalanste 명 공동체 남800  여800  팔랑쥐 --인류역사 --불평등사회--팔랑스테르에서는 평등만개

이상은 자생적 사회주의라 부름  또는 공상적 사회주의  유토피안 쇼설니즘

----------

이하 마르크스 앵겔스는 자신들을 과학적 사회주의로 구분함

 

마르크스--처음에는 국내문제 관심---도벌법 논쟁--라인 신문 편집장을 비판시작--영주시절에는 농노와 영주 공동운명체

             --과수원 낙과/ 속아낸 나무 농노들이 무상으로 사용--농노 독립/ 이제는 돈은 내고 가져가야되면서 발생한 문제

             --인간은 사회적 관계의 총합이다.

마르크스 엥겔스 사회주의/ 공산주의 큰 설계도가 없었음 --독일 사회 비판정도

이것이 레닌 , 스탈린이 키워냄 --옷의 실밥의 한 올을 당기니 옷 전체에 영향을 미침

한국 철학사 학설 유입--일본 프리즘을 통하다보니 프랑스 영국 학설은 안받아들이고 일본이 받아들인 독일에 뿌리를 둠

계몽주의----- 반작용---사회주의

청년 마르크스 -철학박사--나중에 영국가서 경제학 깊이 연구--이미 노동자집에는 가족이 없다--가족해체--삶 피폐

후기 마르크스--가장 삶이 안풀린 사람---착취란 용어대신--자본가의 영여가치 --노동가치설--임금이 지불되지않는 부불노동시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-부의 균등분배 유토피아 --레닌 , 스탈린 정치권력화 정적 숙청--절대권력화의 길-생산성저하--실패작 전락

-------

영국의 길 포퍼  책 '열린 사회와 그들의 적' ---유토피아 꿈꾸는 자체가 잘못됨--점진적 사회공학 주장

2015년 지금 상황--독일의 슬로터다익 철학자---책 '냉소'  주의  위험---아무도 꿈꾸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냉소--아는데도 실행하지 않는것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