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천석 원장(행복한아이연구소 소장, 서울신경정신과 원장)을 마나다(2015.4.8)
부모의 열정--자녀 잘 키우기, 자식 농사에서 성공
요즘 아이들 예전 보다 나아졌을까?---공부?----체력?---정서?---자기조절기?---삶에 대한 통찰력?
부모들이 투자하는 만큼 효과가 과연있는가?
-군대 지휘관--극성 엄마요청으로 "식단'표 보내준다.
- 대학 의대 --학부모회라는 게 있다.
아이들이 행복하지 않다---2013년 OECD 34국 조사 행복지수 우리나라 25위 ---공동체생활 32위 --일과 삶 균형32위
---눈치보는 공동체만 남아있다.
인류역사---함께 아이들을 키워 내는 역사--현재는 오직 아이 엄마, 아빠가
부모들의 문제인가?---자녀를 자기 자존감의 도구로 삼고 있다.
--자녀와 심리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있다.
자녀가 성공하기를 바라는 것은 본능이다.---반장아이 엄마--반장 엄마---일등아이엄마가 한마디하면 경청한다.
모성실패----모성도 아이와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.
육아는 패자부활전?---아이는 부모에게 다시 주어진 패자부활전이 기회인가?
인생--운칠기삼--예전 의대 산부인과 선택 ---소아정신과는 외면 , 현재는 반전 됨
학교 교육 --개미와 배짱이 ---근면성실--행복한 미래를 위해서 현재를 희생해야한다?
다이엘 길버트 ---행복의 조건 연구---행복한 사람들은 ...1.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.
2. 목표를 향해 스스로를 조절하고 있음을 느낌.
평소 5분정도만 좌석에 앉아있는 것이 습관인 학생---40분 목표정하면 실패 가능성 높음
중간목표로 20분 설정---성공체험 경험
육아는 행복인가? 부담인가?---우리 인생에서 과연 중요한것은 무엇인가?
아이 키우기에서 행복하지 않다면 인생은 실패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.
가장 중요한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거기에 집중해야한다.
육아는 결국 자신에 대한 투자이다.
그럼에도 육아는 부담이다. --왜 부담을 느끼는가?---처음해보는 일---현실적 제약
---인간의 근본적인 문제와 연결---완전성을 얻고 싶은 욕망----쉽게 바로 얻어내려는 욕망
인간의 속성---다른 사람 말 잘 안듣는다.---일곱번씩 일흔번을 말해야 듣는다.
문제는 갖고 가는 것---나는 완벽한 인간인가?
문제를 어떻게 바라볼것인가?---문제가 생긴 순간이 교육의 순간이다.
완벽 주의의 함정---잘 안된는 순간이 있을믈 인정하는 것
위로 받고 싶은 감정 모두 다 가짐
있는 그대로의 육아
부모가 무엇을 줄수있나?---꿈 희망---아이들이 어른 고생하는 것 보고 어른이 되고 싶지 않다--생각 안들게 하는 일
지금 여기 이순간 즐기기---부모도 스스로 격려하라---자기비판 비하 말것---부모의 말 태도가 중요
부모의 뒷모습을 보고 배운다.---아빠는 친구가 없으면서 아이보고 친구, 대인관계 거론 넌센스
행복은 관계속에 있다--스스로 노력하고 성실히 사는 모습을 보여라
아이 키우기 비밀---부모가 성숙해지는 것---아이가 부모를 좋아하는 것
아이는 부모의 한계 속에서 자란다.
내/부모 삶이 내 메시지다.
'⊙생생공부방-창의인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경복의 창의인성-철쭉축제 특별 인문학 강연 (0) | 2015.05.04 |
---|---|
조경복의 창의인성-정의로운 경제란? (0) | 2015.04.23 |
조경복의 창의인성-후반전에 강하라 (0) | 2015.04.06 |
조경복의 창의인성-인간행동의 가장 위대한 디자인 (0) | 2015.03.26 |
조경복의 창의인성-인류의 야만사 (0) | 2015.03.25 |